머니인사이트 (Money Insight)

일상 속 돈을 지혜롭게 굴리는 방법. 카드 혜택부터 절세 전략까지, 실속 있는 재테크 정보를 담습니다.

주식

주식을 언제 팔아야 할까? 수익 실현과 손절 타이밍 기준

돈생각남 2025. 4. 16. 09:00
반응형

사기는 쉬워도, 언제 팔아야 할지는 늘 어렵죠.
“좀 더 오를까?” vs “지금이라도 팔아야 하나?”
이런 고민은 투자자라면 누구나 겪는 순간입니다.

이번 글에서는 매도 시점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과
심리적인 함정에서 벗어나는 방법
을 정리해볼게요.


수익이 났을 때: 언제가 적절한 매도 시점일까?

  1. 목표 수익률 도달 시
    → 사전에 ‘이 정도면 충분하다’는 기준을 세워두면
    감정적 매매를 피할 수 있습니다.
    → 예: 20% 수익 달성 시 50% 매도
  2. 기술적 저항선 도달 시
    → 주가가 반복적으로 막혔던 가격에서 매도 검토
    → ‘지금 아니면 다시 떨어질 수도 있다’는 구간
  3. 기업의 단기 재료 소멸 시
    → 실적 호재, 신사업 기대 등
    단기 테마 종료 후 하락하는 경우 많음

손실이 났을 때: 무조건 들고 있어야 할까?

절대 그렇지 않습니다.
손절이란 ‘실패가 아니라 방어’입니다.

  • 계획한 손절선 도달 시
    → 예: -10% 도달 시 매도
    → 기준이 없으면 ‘언젠간 오르겠지’ 하다가 장기 물림
  • 기업의 근본 리스크 발생 시
    → 회계 이슈, 적자 전환, 상장폐지 경고 등
    → 보유 자체가 리스크가 되는 상황은 빠르게 정리 필요

흔한 심리적 착각

  • “지금 팔면 손해니까 버텨야지”
    → 손해를 줄이는 것도 수익입니다.
  • “다시 오를 거야”
    → 근거 없는 낙관은 손실만 키움
  • “더 오를 수도 있잖아”
    → 이미 수익 났다면 일부 매도로 리스크 분산이 정석

투자는 사는 순간보다 파는 순간이 더 중요합니다.
매도는 단순한 종료가 아니라,
다음 기회를 만들기 위한 전략적 이동이라는 걸 기억하세요.

반응형